최근 프랑스가 이탈리아화 되고 있다는 이유

최근 프랑스가 이탈리아화 되고 있다는 이유
댓글 0 조회   241

작성자 : 천사의눈물

 
 
최근에 3대 신용기관에 속하는 스탠더드 & 푸어스랑 피치가 프랑스 신용등급 강등
 

 
프랑스의 GDP 대비 재정 적자는 유럽 국가에서도 가장 심각한 수준
 

프랑스보다 재정적자가 심한 국가는 단 3국가. 루마니아, 헝가리, 이태리
 

 
 
그나마 헝가리는 출산 지원정책과 이탈리아는 저소득층 주택지원으로 늘은거라서 프랑스보다 장기 이득이라도 있음
 
 

 
사실 프랑스의 재정적자는 유명해서 1973년 이래 프랑스는 50년넘게 단 1번도 재정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음.
 

 
그 결과 프랑스의 GDP 대비 국가 부채 비율은 그리스와 이탈리아를 제외하고 유럽에서 가장 높은 수준.
 

 
결국 이는 투자자들과 신용평가사에게 리스크로 다가오고, 프랑스의 신용등급은 영국이나 한국 수준에서 체코나 슬로베니아 수준으로 떡락.
 

 
 
이렇게 된 근본적 이유로는 첫번째로 프랑스가 민간보다 정부주도 경제라는게 꼽힘. 프랑스의 공공영역 지출은 주요국 어느국가보다 높은 수준인 GDP의 58%.
 

[ GDP 대비 세율 ]
 
그런데 프랑스의 GDP 대비 세금 또한 46.2% 로 세계 1위.
 
 

 
 더 이상 증세로 이걸 메꾸기엔 이미 프랑스 시민들 약 70% 가 세후 월급 200만원대 수준이니 못견딤.
 

 
그리고 두번째 이유로는 경제 성장률 문제. 프랑스는 다른 선진국보다 출산율이 나은편이나, 사상 최초 저출산 국가 답게 저출산으로 인한 누적 데미지가 만만치 않음. 이미 프랑스는 초고령화 국가로 이미 분류되는중.
 

 
 
게다가 세계 명품 산업을 압도하고 있으나, 사치재는 수요층의 규모가 적어 시장이 작다는 한계가 존재. 실제로 프랑스의 탑 수출품을 보면 기계, 자동차, 전자기기, 항공, 제약, 석유화학등.
 

 
 
그런데 프랑스는 미니텔의 실패 이후 IT같은 신산업에서는 영영 뒤쳐진 상황으로 아날로그적이라고 놀림받는 독일 조차 SAP같은 테크 기업을 배출해낸데 비해 프랑스는 최상위권에선 없다시피함. 
 

 
 
그래서 초고령화로 인한 생산성 하락에 성장성 좋은 신산업마저 부재한 프랑스가 그나마 경제 성장률 반등을 위한 유일한 탈출구가 더 많은 돈을 푸는것이었고 이는 큰 재정적자의 원인이 됨. 
 

 
 
실제로 IMF 전망에서도 1인당 GDP의 흐름에서 독일이나 영국보다 이탈리아에 가까워지는 모습을 보이는데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


유머 게시판
제목
  • 일본인 여자 친구가 한국어 배워서 쓴 편지
    309 2024.06.09
  • 몸에서 함부로 뜯지 말아야되는 4가지
    272 2024.06.09
  • 연합군들이 환장하던 나치 권총
    350 2024.06.09
  • 30대 초중반까지는 젊은 나이인 이유
    343 2024.06.09
  • 곧 한국에 상륙한다는 일본 프랜차이즈
    249 2024.06.09
  • 철학자 쇼펜하우어가 말한 삶이 괴로울 때
    250 2024.06.09
  • 통신사가 돈벌면 요금내릴거라는 분 오래된 근황 
    238 2024.06.09
  • 대한민국 현 상황 한 짤 요약
    316 2024.06.09
  • 결혼정보업체 갔다가 깜짝 놀란 직업군인 유튜버
    271 2024.06.09
  • 게임 ㅈ같이 하는 루이지 카트
    295 2024.06.09
  • 정해놓고 살면 인생이 힘들어지는 이유 
    298 2024.06.09
  • 기이한 전설이 있는 한국의 문화재 
    344 2024.06.09
  • 실시간 국방부 근황 ㅋㅋㅋ 
    257 2024.06.09
  • 흔한 일본의 톰보이 코스프레 눈나
    281 2024.06.09
  • 어느 알바녀의 땀범벅 후기 
    290 2024.06.09

로그인 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